컴퓨터의 사용이 확산되면서 데이터를 좀더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주고받을수 있도록 일정한 포맷을 정해서 교환하는데 요즘 가장많이 사용하는것이
- JSON
- XML
- CSV
포맷이다.
우르이 IT생활을 업그레이드 하기 위해서는 IT용어만 알아도 수준급으로 도약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업계에서는 많이 쓰지만, 일반 실생활에서 사용도 가능하고 자주 언급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카톡으로 이력서를 보내달라고 했을경우에
A: 이력서 데이터 포맷을 뭘로 해야하나요?
B:아래한글 파일이나 word나 다 괜찮아
A:사진 보내줘~ 포맷이 뭐야?
B: JPG야.
우리가 파일을 받았을때, 파일 이름 위에 점(.)뒤에 보통 확자자 명을 보면 파일 형태를 알수 있다.
.HWP면 아래한글
.xls면 엑셀파일
.jpg이면 이미지 파일
.psd면 포토샵 파일 등등
JSON
- JavaScript Object Notation
- 브라우저/서버 통신을 위한 XML의 대안으로 대두됨
- 태그가 많은 XML에 비해 가볍고 처리 성능이 뛰어남
- 자바스크립트 기반으로 탄생하여 상호운용성이 뛰어남
- 최근 들어 많은 개발 툴들의 표준으로 채택됨
- 예시: '{"name":"John", "age":30, "car":null}'
XML
- Extensible Markup Language
- 1990년대 개발되어 이종 형식 간의 데이터 전송 표준으로 활용
- 복잡하여 맵핑이 어려움
- 태그가 많아 문자량이 늘어나 응답시간이 느림
-HTML도 XML의 일종이라고 볼수 있음
- 예시 :
CSV
- comma-separated values
- 엑셀파일에서 csv로 저장할수 있고 열어보면 , 로 구분되는 형식으로 되어있음.( 사과, 배, 수박, 참외,...이런식으로 )
- DBMS나 엑셀로 메타데이터를 관리할 경우 적합한 포맷
- 구조체를 정의할 수 없어 단순한 구조인 경우에만 활용 가능함
요즘 많이 사용하는 데이터 포맷을 알아둬서 IT지수를 높이세요~
'인터넷 IT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유용한 기능 - 시트 바로 이동하기 (0) | 2022.08.23 |
---|---|
아래 한글 유용한 기능 - 적색(빨간색)글자 찾기 Hot key (0) | 2022.08.23 |
공장자동화(FA)란 무엇인가? - IT입문(8) (0) | 2022.06.29 |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원리 - App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0) | 2022.06.22 |
웹 사이트는 어떻게 개발되나 - IT입문(7) (0) | 2022.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