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를 알면 전문가가 되는 길을 시작 한것이다~
OS는 Operating System의 약자이다.우리말로는 운영체계라고 하기도 한다.한마디로 하드웨어(Hardware-H/W)에 탑재되어 하드웨어를 사용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의 기본이 OS라고 할수 있겠다.
IT는 크게 H/W(하드웨어)와 S/W(소프트웨어)로 나눌수 있다.OS는 S/W쪽이다.우리가 집에서 사용하는 컴퓨터도 CPU,RAM,HardDisk,모니터,키보드,마우스같은 하드웨어가 연결되어 사용하지만 소프트웨어가 없으면 무용지물이다.OS는 이러한 컴퓨터 하드웨어에 생명을 불어넣은 프로그램이라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것같다.
IT는 용어를 알고 시스템에 대해 이해를 하면 누구하고나 심도깊은 IT에 관한 이야기를 할 수도 있고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컴퓨터 스마트폰 앱에 대한 부분도 동작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런 부분을 이용하면 자기가 하는 일에 IT적인 아이디어를 추가하여 사업을 할 수도 있겠다. 자기가 컴맹이라고 생각한다면 이러한 대장정의 사작이 OS라는 용어를 이해하는것부터 시작한다고 보면 될거 같다.
우리가 이런 대화를 예상해볼수 있겠다.
A: 집에서 사용하시는 컴퓨터 OS가 어떻게 되시나요?
B: 윈도우를 사용합니다.
집에서 쓰는 컴퓨터가 Mac이라면
B; 맥을 사용합니다.(또는 macOS를 사용합니다)
가 될수 있겠다.
애플에서 만든 컴퓨터이름이 Mac이지만 그냥 맥을 사용하다고 해도 질문자는 macOS를 사용하는지 추측할수있다.
또는 집에서 사용하는 컴퓨터에 Linux를 설치해서 사용한다면 리눅스라고 얘기하면 된다.
컴퓨터에 OS가 설치되어 있듯이 우리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에도 OS가 설치되어 있다. 삼성폰은 안드로이드가 설치되어있고 아이폰은 iOS가 설치되어 있다. 우리가 사용하는 전자제품중에서 우리가 화면을 통해서 뭔가 설정하고 하는 기능이 있는 제품이라면 어떤 형태로든지 OS가 설치되어 있다고 보면 될거 같다.
처음에 이런 전자제품에 전원을 넣으면 우리가 처음 어떤 액션을 하기 까지 전자제품이 켜지는 과정(즉 생명을 불어넣는)을 부팅과정이라고 한다. 컴퓨터도 스마트폰도 다 부팅과정이 있다.길고 짧음의 차이는 있겠지만. 이과정은 우리가 사용할수 있도록 준비하는 즉,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렇게 OS가 부팅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선택을 기다리거나 기본적으로 설정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PC를 예로 들어 설명을 하면 OS가 구동되면
- PC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RAM에 OS프로그램이 실행되어
- 모니터,키보드,마우스 같은 하드웨어를 사용할수 있게 인식하여 연결하여 준비하고
- 통신장비도 사용할수 있게 준비하여 LAN이나 WiFi를 연결하여 준비하고
- 처음 시작할때 기본적으로 실행해야할 프로그램들은 하나씩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 메인화면(테스크탑)을 모니터에 띄운다.
- OS는 사용자가 뭔가 할때가지 대기하며 기다린다.
- 사용자가 파워포인트 프로그램을 떠블클릭하면 파워포인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화면에 띄운다.
이렇게 OS는 PC에서 사용하가 선택하는 것에 따라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기도 하고 실행을 중지하면 응용프로그램을 중단하기도 하면서 전체PC를 총지휘하는 선장 역활을 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앞으로 IT의 폭넓은 공부를 하기위해 오늘은 우리주위에 내가 사용하는 전자제품에 어떤 OS들이 있는지 알아보고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자
친구가 이런질문을 했다면 대답을 어떻게 해야할까?
A: 사용하는 스마트폰 OS가 뭐야?
B: (삼성폰이면) 안드로이드 야~ (아이폰이면) iOS야~
이렇게 자신있게 대답하자.
'인터넷 IT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인 주문기(키오스크) 원리와 사용 방법 (0) | 2021.10.28 |
---|---|
서버(Server)와 클라이언트(Client) , 클라우드란 무엇인가? (0) | 2021.03.16 |
노트북 추천 - 어떤 노트북이 좋을까요? (2) | 2021.01.04 |
온라인 시대 생존하기 - 살아가기, 시간 절약하기 (0) | 2020.10.06 |
유튜버 아주 쉽게 시작하기 (0) | 2020.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