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IT Tip

서버(Server)와 클라이언트(Client) , 클라우드란 무엇인가?

록기7 2021. 3. 16. 16:53
728x90

우리는 인터넷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코로나 시대로 인터넷,온라인으로 힘이 더 강해지고 사용하는 사람들이 훨씬 많아지고 있습니다. 대형마트들도 온라인 판매에 더 신경을 쓰는 모양새 입니다.

 

세상은 온라인으로 빠르게 달려가고 있습니다. 카카오,네이버,엔씨소프트등 게임회사들의 수익이 사상최고를 기록하고 있고 배달앱 서비스를 제공하는 배달의민족과 쿠팡잇츠등이 잘 나가고 있습니다.이로인해 프로그램 개발자들의 연봉이 계속 상승한다는 소식이 뜨겁습니다.

 

기계식 키보드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쇼핑에 그동안 사용을 기피하던 중장년층,노년층도 이제는 온라인 쇼핑을 자주 한다고 합니다.앞으로는 음식점에도 주문을 키오스크로 하는 시대가 멀지 않아 보입니다. 몇몇 음식점이 주문을 키오스크로 받는 곳을 제법 자주 보게 됩니다.

 

우리는 이제 생존을 위해서 그래고 편리한 생활을 위해서 IT 지수를 높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그리고 이야기를 할때 IT용어를 몇개만 알아도 대화하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고 IT용어를 몇개 알면 IT시스템이 어떻게 구성되고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어렴풋하게 이해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가장 기본적인 몇가지 용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서버(Server) : 인테넷을 구축하려면 서버가 필요합니다. 서버는 우리집에 있는 PC라고 생각해도 될거 같습니다.성능이 좀더 좋은 PC입니다.자영업을 하시는 분이 여기(서버)에 내 가게(예: 호박고구마 상점)의 정보를 담은 홈페이지를 만들어서 넣어두면 검색엔진(네이버,다음,구글)등과 같은 사이트를 운영하는 시스템에서 내 가게 정보를 담은 서버의 위치를 파악해서 사용자가 검색창에 호박고구마 상점을 입력하면 서버에 있는 정보를 가져와서 보여주는 서비스가 검색서비스입니다. 우리가 네이버나 다음에서 알고싶은 단어을 치고 검색하면 해당정보가 있는 여러 서버에서 정보를 가져와서 보여주고 하는것입니다. 여기에서 검색을 하는 내 PC를 클라이언트( Client )라고 합니다.

서버는 정보를 제공하는 PC라고 보면되고 클라이언트는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라고 보면 됩니다.

 

요즘 자주 나오는 클라우드(Cloud)서비스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서버를 빌려주는 서비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구름이라는 단어를 쓴것은 어딘가엔가 서버가 있고 내가 구축하려는 서비스를 서버를 사지 않고도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를 통해서 서비스를 구축 할 수 있는 것입니다.그대신 사용한 만큼의 비용은 지불을 하여야 하는 것이지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중에서 제일 큰데가 아마존, 구글 등이 있습니다.

아마존은 EC2라는 이름으로 구글은 구글클라우드라는 이름으로 서비스 합니다.

 

예를 들어 당근과 같은 중고거래사이트를 내가 만들어서 서비스 하고 싶다고 하면 옛날(클라우드서비스가 없었던 시절)에는 서버를 구매하고 인터넷전용선을 연겴하고 여러 통신장비로 시스템의 안전과 원활한 서비스를 위해서 구매하고 설치해야 할 것들이 많아서 비용적으로 많이 부담이 됐던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요즘에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면 서버같은 비싼 하드웨어를 구입할 필요도 없이 서비스를 구축 할 수가 있습니다.그리고 사이트가 잘되어서 트래픽이 늘어나면 그만큼 내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잘 된다는 이야기 이니까 그 수입으로 클라우드 서비스 비용을 충당하면 되는 것입니다.

 

오늘은 서버, 클라언트, 클라우드 라는 단어를 공부해봤습니다.

 

종종 IT용어에 대한 글을 쉽게 설명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728x90